Practice

문제1 How many PODs exist on the system? In the current(default) namespace 풀이 controlplane ~ ➜ k get po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webapp-color 1/1 Running 0 2m48s 문제2 What is the environment variable name set on the container in the pod? 풀이 controlplane ~ ➜ k get po webapp-color -o jsonpath='{..env}' [{"name":"APP_COLOR","value":"pink"}] 문제3 What is the value set on the environment variable A..
문제1 How many PODs exist on the system? In the current(default) namespace 풀이 controlplane ~ ➜ k get po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ubuntu-sleeper 1/1 Running 0 2m7s 문제2 What is the command used to run the pod ubuntu-sleeper? 풀이 controlplane ~ ➜ k get po -o jsonpath='{..command}' ["sleep","4800"] 문제3 Create a pod with the ubuntu image to run a container to sleep for 5000 seconds. Modify the fil..
웹 페이지를 배포했다고 앞 페이지에서 안내 했음 페이지 확인 해보니 blue deployment를 분석하고 pod가 몇개 배포 되었는지 확인하라 grep 명령어로 간단히 확인했는데 아래와 같이 확인해도 된다. controlplane ~ ➜ k get deploy frontend -n default -o jsonpath='{.spec.replicas}' 4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데 사용되는 컨테이너 이미지는 무엇입니까? controlplane ~ ➜ k get deploy frontend -n default -o jsonpath='{.spec.template.spec.containers[*].image}' kodekloud/webapp-color:v1 deployment를 분석하고 현재 전략이 어떻게 되..
metric-server를 배포하세요, git repo에서 pull 해와서 제시해준 git clone 명령어로 파일을 가져왔다. 모든 yaml 파일 생성하시오 kubectl top node로 node 메트릭 확인하기 어떤 노드가 제일 많은 CPU 자원을 사용중인가요? k top node 명령어로 확인하면 된다. controlplane이 많이 사용중 어떤 노드가 가장 많은 메모리를 사용 중인가요? controlplane이 많이 사용중 어떤 파드가 가장 많은 메모리를 사용 중인가요? k top pod 명령어로 확인하면 된다. rabbit 파드가 제일 많이 사용중 가장 적은 CPU를 사용하는 파드는 무엇인가요? lion이다. USER5 유저는 application에 접근하는 데 문제가 있다. 원인을 파악하세요..
static pod는 몇개나 있나요? 처음에 봤을때는 이걸 어떻게 알지? 싶었는데 일단 /etc/kubernetes/manifests 경로에 yaml파일이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나서 get po 를 해보니까 yaml 파일로 생성된 것들은 다 -controlplane이 붙어 있었다. 무조건 적으로 그런것은 아닐것 같은데 일단 이렇게 생각하는 게 편할듯 맞는지 검증이 필요할 듯 하다. 어떤 항목이 static pod로 실행되지 않았나요? 정답은 coredns 어떤 노드에 현재 static pod가 생성되었나요? k get 명령어로 확인해 보았는데 위에서 확인했던 모든 파드들은 다 controlplane 노드였음 static pod의 정의 파일은 어느 디렉터리에 위치해 있나요? /etc/kuberne..
DaemonSets 는 모든 네임스페이스에 얼마나 있는가? k get ds -A # daemonset은 ds로 축약이 가능하다. daemonset은 ds 로 축약하였고, 모든 네임스페이스를 물어보았으니 -A 옵션을 걸어주었다. kube-proxy 데몬셋은 어느 네임스페이스에 있는가? kube-system에 있다. 데몬셋은 어떤 것에 속하는가? 현재 데몬셋은 kube-flannel-ds 가 있다. kube-proxy 데몬셋에 속하는 파드는 몇개 있는가? kube-proxy-~~~ 이름이 붙은 파드를 찾아보면 된다. kube-flannel-ds 데몬셋의 파드 이미지는 무엇인가? 되도록 jsonpath를 이용해서 검색해보려 했다. controlplane ~ ➜ k get ds kube-flannel-ds -n..
rabbit 파드의 CPU requests 는 얼마인가? k get po rabbit -o jsonpath='{.spec.containers}' 명령어를 이용해서 확인해주었다. rabbit 파드를 삭제하세요 k delete pod rabbit 명령어 이용해서 삭제했다. elephant 파드가 배포되다가 실패 되었는데 실패된 이유를 분석해보아라 처음에 k get pod 명령어로 CrashLoopBackOff 상태여서 그렇게 답변했는데 오답이었음 그래서 describe 명령어로 확ㅇ니해보니까 Reason에 OOMKilled 되었다고 함 15Mi 메모리를 가지고 있는 elephant 파드의 메모리 limit을 20으로 수정해라 기존에 10 Mi 이었다. 근데 실행중인 pod를 edit으로 변경시켜 적용시키는 ..
node01에 레이블은 몇개 있나요? 기존에는 describe 해서 Labels 필드를 찾아서 검색했는데 jsonpath 기능을 까먹고 있었다. controlplane ~ ➜ k get node node01 -o jsonpath='{.metadata.labels}' {"beta.kubernetes.io/arch":"amd64","beta.kubernetes.io/os":"linux","kubernetes.io/arch":"amd64","kubernetes.io/hostname":"node01","kubernetes.io/os":"linux"} jsonpath 는 출력의 결과를 path 기반으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다. -o 옵션에서 jsonpath='{..}' 이런 형식으로 원하는 속성까지 접근이 가능..
노드는 몇개 있나요? k get nodes -A node01 노드에는 taint가 존재하나요? get으로 보려니까 안보여서 describe로 확인함 주의해야할 점은 describe를 사용해야된다는 것과 Taints 대소문자 구분 node01 노드에 spray=mortein:NoSchedule 테인트를 생성해라 테인트를 생성하는 법은 k taint node node01 =:와 같다. k taint node node01 spray=mortain:NoSchedule nginx 이미지의 mosquito 파드를 생성해라 # k run --iamge=: 으로 생성 가능 k run mosquito --image=nginx 파드의 상태는 어떠한가? Pending 파드가 pending인 이유는 무엇인가? k descri..
Nowon9159
'Practice'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