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Network
개요트러블 슈팅을 진행하거나 도메인 관련 설정을 할 때 에러가 발생한 적이 있는데 명확히 파악하지를 못했다. 원인이 무엇인지 관련된 증상이 발생했을 시 어떤 것을 확인하면 좋을 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NXDOMAIN위는 아무 도메인에 접속한 결과이다.위와 같이 NXDOMAIN 관련된 에러가 발생하면 아래와 같은 항목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도메인을 올바르게 입력했는지 확인하기다른 기기, 브라우저, 네트워크 또는 캐시를 날리고 접속해보기크롬에서 캐시를 지우기 위해서는 chrome://net-internals/#dns 로 접속해 "Clear host cache"를 선택하면 된다.개발자 모드에서 캐시를 지워도 된다.방화벽, VPN 등 소프트웨어가 막고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DNS 설정이 최근에 변경된 경우 ..
· Network
개요보통 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통신을 하거나 Load Balancing 할 때 우리는 Downstream이라고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근데 Nginx 에서는 Upstream이라고 하는 것을 확인하고 무슨 의미인지 궁금해 정리하게 되었다.미리 알려주자면 링크 에서 자세히 확인 가능하다. 그래서 무엇인가?Downstream은 직역하면 하류이다. 물이 산에서 강으로 흐르는듯이 상류에서 하류로 메시지가 흐른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우리가 보통 NLB, ALB를 생각할 때 Downstream이라고 하는 것은 LB에서 EC2 서버로 메시지가 전송되니 하류(Downstream)로 메시지가 흐른다고 생각하면 된다.근데 Nginx에서는 다르다. Nginx는 HTTP의 데이터 전송을 위함이다. 결국 HTTP는 응답..
· Network
정의웹 소켓은 단순한 API로 구성되어 있어,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Socket Connection을 유지해서 언제든 양방향 대화형 통신 세션을 열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웹 소켓을 사용하면 서버에 메시지를 보내고 서버에 응답을 Polling할 필요 없이 이벤트 기반의 응답을 받을 수 있다. 일단 양방향 대화형 세션이 맺어지면 사용자와 서버 중 어느 한 쪽이 연결을 끊지 않는 한 지속된다.웹소켓 통신 시 url 은 ws://example.com:port 가 된다.웹 소켓이 나오게 된 배경은 HTTP의 단점을 보완한다는 목적이 있다. 기존 HTTP는 단방향 통신으로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Request를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Response를 보내는 방식으로 통신을 종료한다. (HTTP는 기본적..
· Network
보통 서버를 구성한 후 api 통신을 이용할 때 localhost:포트 형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곤 한다. ex) swagger, web 통신하는 방법 및 차이가 궁금해서 정리를 해 보았다. 정의 우리가 보통 서버와 서버 간 통신을 진행하게 되면 IP to IP 로 하게 되는데 (DNS 구성하지 않은 경우) 왜 localhost라는 네임으로 통신이 되는건가? 윈도우 환경을 예시로 들면 C:\Windows\System32\drivers\etc 위치에 있는 hosts 파일에 있다. (리눅스에선 /etc/hosts) OS를 많이 다뤄본 사람은 알겠지만 localhost 로 접근 시 127.0.0.1 로 접근 하도록 도와주는 동작을 한다. 왜? 127.0.0.1 로 기억하는 것보다 localhost 로 기억하는 ..
· Network
NAT 정의 간단하게 말해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개의 사설 IP로 변경해주는 주소변환 방식이다. IP는 한정적 자원으로서 2의 32승 정도의 IP를 사용 가능한데 이 마저도 전 세계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함에 따라 자원이 모자른 상태가 되었다. 그래서 공인 IP 한 개를 발급 받아 공인 IP - 사설 네트워크의 구조를 구성하여 IP 자원 절약을 위해 NAT라는 기능이 나오게 되었다. 물론 보안적 요소도 있다. 사설 IP -> 공인 IP -> 목적지 로 가는 과정에서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경하기 때문에 목적지 입장에선 정확히 어떤 사설 IP 에서 트래픽이 날라온 지 모르기 때문이다. (물론 사설 IP와 공인 IP를 연결해주는 매개체는 알고있음 -> 보통 라우터인듯함) 또한 NAT를 사용하게 되면 추가..
· Network
HTTP 상태 코드 상태 코드는 세 자리 숫자로 되어 있는데 첫 번째 숫자는 HTTP 응답의 종류를 구분하는 데 사용하며 나머지 2개의 숫자는 세부적인 응답 내용 구분을 위한 번호 응답 코드 설명 분류 설명 100 Continue 정보 교환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부 요청을 받았으니 나머지 요청 정보를 계속 보내주길 바람. (HTTP 1.1에서 처음 등장) 101 Switching Protocol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대로 Upgrade 헤더를 따라 다른 프로토콜로 바꿀 것임. (HTTP 1.1에서 처음 등장) 102 Processting 사용자가 수신 요청을 해 처리하고 있지만, 아직은 제대로 된 응답을 할 수 없는 상태 103 Early Hints Link해더와 함께 사용되며 주로 서버가 응답을 준비하는..
Nowon9159
'Network'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