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6장 Resilience: Solving application networking challengesThis chapter covers회복탄력성의 중요성 이해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resilience클라이언트 측 로드 밸런싱 활용 Leveraging client-side load balancing요청 시간 초과 및 재시도 구현 Implementing request timeouts and retries회로 차단 및 연결 풀링 Circuit breaking and connection pooling마이그레이션 Migrating from application libraries used for resilience 들어가며4장에서 다룬 이스티오 인그레스 게이트웨이를 거쳐 클러스..
5장 Traffic control: Fine-grained traffic routing이번 장의 목표Traffic routing basicsShifting traffic during a new releaseMirroring traffic to reduce the risk of a new releaseControlling traffic as it leaves a cluster 들어가며 : 트래픽 세부 라우팅 필요 설명이전 장에서 우리는 트래픽을 클러스터로 가져오는 방법과 이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았습니다.요청이 클러스터에 들어오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적절한 서비스로 어떻게 라우팅되나요?클러스터 내에 있는 서비스는 같은 클러스터 내 또는 클러스터 외부에 있는 다른 서비스와 어떻게 통신하나요?..
4.2.3 Overall view of traffic flow 전체적인 트래픽 흐름 개요이스티오 게이트웨이 리소스는 서비스 메시 클러스터의 엣지에서 리스닝하고자 하는 포트, 프로토콜, 가상 호스트를 정의한다.VirtualService 리소스는 에지에서 허용된 트래픽이 가야 할 곳을 정의한다. 4.2.4 Istio ingress gateway vs. Kubernetes Ingress쿠버네티스를 실행할 때 ‘왜 이스티오는 그냥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v1 리소스를 인그레스로 지정하지 않는가?’ 라는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이스티오는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v1 리소스를 지원하지만,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v1 사양에는 상당한 한계가 있다.쿠버네티스 인그레스 v1 의 사양이 HTTP 워크로드에 맞춰져 매우 단순하다는 점..
개요CloudNet에서 주관하는 istio(Istio Hands-on Study) 1기 스터디 2주차 글이다. 아래의 글은 스터디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했으니 많은 관심 부탁 드린다. CloudNet@ Blog 에서 스터디 관련 글 및 모집 글을 확인 가능하다. 3장 Istio’s data plane: Envoy Proxy이번 장은 아래와 같은 목표가 있다.Understanding the standalone Envoy proxy and how it contributes to Istio : Istio 에 Envoy 동작 이해Exploring how Envoy’s capabilities are core to a service mesh like Istio : Envoy 기능 알아보기Configuring En..
Nowon9159
'스터디'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