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리적인 HW 자원을 논리적인 객체로 추상화하는 것을 말한다.
단적인 예로 서버 3대를 가상화하여 1대처럼 보이게 하거나 서버 1대를 여러 개의 장치저럼 사용할 수 있게끔 해주는 기술
가상화는 대상에 따라서 서버 가상화, 데스크톱 가상화, 어플리케이션 가상화로 구분 가능하다.
1. 서버 가상화
- 서버의 효율성을 올리기 위해서 등장하게 되었고, 가상화 개념의 시초라고 한다.
- 하이퍼바이저와 가상머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 하이퍼바이저 : 하드웨어로부터 제공되는 물리적인 레이어를 추상화하고, 가상머신을 통해 기능들을 사용하도록 해준다.
- Type-1 : 하이퍼바이저 위에 게스트 OS가 바로 탑재되는 형태
네이티브 또는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하는 가상화
물리적 컴퓨터 하드웨어에 하이퍼바이저를 바로 설치하는 구조
전가상화 반가상화 존재함
주로 Hyper-V, ESXi, Xenserver 등이 있음. - Type-2 : 호스트 OS 위에 하이퍼바이저가 있다.
베어메탈을 구동하기 위한 호스트 운영체제가 설치되고, 그 위에 하이퍼 바이저가 실행 되는 구조
호스트 OS - 하이퍼바이저 - 가상의 하드웨어 에뮬레이팅 과정이 있어 오버헤드가 크다
주로 VMware, VirtualBox 등이 있음.
- Type-1 : 하이퍼바이저 위에 게스트 OS가 바로 탑재되는 형태
2. 데스크톱 가상화
- 일반 컴퓨터 시스템에서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는 가상 기계를 생성 해 일반 컴퓨터 사용자가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의미한다.
-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운영 체제를 설치해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데스크톱 가상화를 이용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운영 체제를 설치할 필요 없이, 가상 기계에서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3. 어플리케이션 가상화
-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가상 기계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의미한다.
- 어플리케이션 가상화를 이용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가상 기계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 실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 없이 가상 기계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전가상화와 반가상화
- 전가상화 : 가상 머신을 생성하는 하이퍼바이저가 가상 머신에서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 하는 방식
이를 이용해 가상 머신 안에서 어떤 운영 체제든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어떠한 운영 체제던 실행할 수 있지만, 성능이 좋지 않고 시스템 자원을 많이 차지함 - 반가상화 : 가상 머신을 생성하는 하이퍼바이저가 가상 머신에서 운영 체제를 실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일부 자원만 가상화 하는 것을 의미함.
이를 이용해 가상 머신 안에서는 일부 운영 체제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반응형
'CS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I란? (0) | 2022.06.25 |
---|---|
CORS란? (0) | 2022.06.25 |
정적 분석과 동적 분석 (0) | 2022.06.18 |
Redis 란? (0) | 2022.06.13 |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란? (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