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의
각기 다른 서버들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시스템같이 동작하게 함으로써 클라이언트들에게 고가용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한 개의 클러스터로 묶여있어 하나의 시스템 처럼 동작하게 되면 클러스터 내부의 서버가 고장이 나도 나머지 서버가 그 기능을 대신할 수 있게끔 하는 기능.
클러스터는 높은 수준의 가용성, 안전성, 확장성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보다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템을 이용한다. 클러스터 기술은 세가지 유형의 장애를 대비한다.
-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 장애 : 어플리케이션과 필수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 시스템과 하드웨어 장애 :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CPU, drives, memory, network adapters, 전원공급기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 여러기관의 사이트 장애 : 자연재해, 정전, 연결 중단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여러 서버를 그룹화함으로써 서버 클러스터는 작업 부하를 노드 전체에 분산시켜 중단 시간과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사용자 요청의 양에 관계없이 훨씬 더 높은 가동 시간과 지속적인 성능을 보장하기 때문에 고가용성 클러스터라고도 한다.
장단점
- 장점 :
- 가용성 증가 : 고가용성 서버 클러스터는 한 노드가 이미 사용 중인 경우 사용자 요청을 다른 노드로 전송하여 호스팅된 서비스의 가용성을 높인다.
- 장애 조치 보호 :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안정성을 극대화한다. 하드웨어 오작동, 소프트웨어 오류, 기타 문제로 인한 데이터 손실 및 서비스 중단을 방지한다.
주로 애플리케이션 장애 / 하드웨어 오류 / 사이트 장애 등의 장애로 부터 보호한다. - 확장성 : 기존 서버 하나로만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서버가 노드로 구성되어 클러스터에 구성되는 구조로서 서비스를 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많은 공간을 제공한다.
내 생각
Kubeenetes나 컨테이너 또는 가상화 서비스에서 많이 보던 단어여서 클러스터링이 익숙하긴 했고 구체적으로는 알지 못했는데 알게 됐다. 클러스터링이란 여러 개의 서비스를 묶어서 하나처럼 동작하게 하고 부하를 분산시켜 가용성, 안전성, 확장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이다. 왜? 서비스 장애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일어나니까 (자연재해, 애플리케이션 장애, 시스템 / 하드웨어 장애, 휴먼 에러도 포함) 서비스 장애가 일어날 시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또 서비스 제공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참조] :
반응형
'CS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싱(Tracing)이란? (0) | 2023.07.19 |
---|---|
DB Clustering이란? (0) | 2023.07.18 |
SSL Offloading이란? (0) | 2023.07.13 |
Parsing이란? (0) | 2023.07.11 |
VPN이란? (0)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