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SOA 합격 후기로 돌아왔습니다. 점수가 그리 높게 나오지 않아서 도움이 될 지는 모르겠지만 시험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일단 준비는 대략 1개월에서 3주 정도 준비를 한 것 같고, 공부 소요 시간은 대략 60시간 정도 되는 것 같아요 (공부를 많이 안했음....ㅠ)
유데미에 스테판 마렉(Stephane Maarek) 선생님 강의를 정리하면서 공부를 했고 양이 너무 많아서 중간중간 빼먹는 부분도 많고 Route53 강의부터는 거의 훑어보는 정도 밖에는 못했었습니다. 한달을 채 강의 1회독만 하기에도 너무 벅차서 강의를 전부다 보실 계획이시라면 미리미리 봐두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뭔가 SAA에 나오는 내용도 조금 겹치는 편이고, 실제로 AWS 운영하면서 겪고 알고있던 몇 가지 문제들이 있어서 조금은 수월하게 준비를 했던 것 같습니다. SAA 관점에서 나오는 문제들도 꽤나 있었어서 더 수월했던 것 같습니다.
AWS Skill Builder 에 있는 유료 문제를 풀면서 감을 익히고 처음에는 600 점대 2회차 700점대 그리고 오답 문제를 집중적으로 풀며 3회차 934 점까지 끌어올렸습니다. Skill Builder 문제가 감 잡기 좋은 것 같아요.
그리고 Examtopics를 이용해보기도 했는데, 돌아보니 Examtopic에 나온 문제가 정확히 나오는 경우는 없고 문제 유형만 조금 비슷해서 신뢰성이 크게 있지는 않았습니다.
최종적으로 765 점으로 합격 했습니다. 점수가 높게 나오지 않아서 조금 아쉽지만 자격증은 취득했으니 시험 준비하면서 정리한 정리본이랑 치트 시트처럼 필수 개념만 있는 정리본을 정리하며 다시 시험을 되새겨 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리눅서님이 만들어 주신 자격증 소모임 덕분에 페이스 잃지 않고 조금씩이라도 공부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무한감사...
자격증 소모임의 경우 AWSKRUG 여기로 들어오셔서 슬랙 #cert 채널로 들어오시면 디스코드 입장할 수 있게 안내 드립니다!
꿀팁
시험에서 나왔던 문제 중 기억나는 대로 적은 리스트입니다. 문제에 대해 어떻게 선택했는지 또는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였는지에 대해서도 적어 놓았습니다. 참고하세요!
- 라우트 53 서버 장애조치 어떻게 해야하는지?
- 지연 시간 기반, 헬스체크
- 오토스케일링 스케일링 정책 관련 문제
- 예를 들어 금요일 오후 5시에 트래픽이 급증하는 데 ASG 이용해서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 예약된 스케일링 정책
- 회사 내부 정책사항으로 인해서 객체가 변경되면 안된다.
- S3 객체 잠금
- 회사 내부 정책 사항으로 인해서 객체 변경 사항을 감사해야함
- CloudTrail Digest 설정
- 인스펙터 관련 문제
- 정밀 패킷 검사
- 비용 태그 (cost allocation tag) 관련 문제
- 사내 보안 규정 지키기 위한 SSM & CONFIG
- 클라우트 프론트 캐싱 히트 어떻게 극대화 하는지?
- 멤캐쉬 부하 개선
- RDS 이벤트 관련 문제
- 어떻게 설정해야 적합한 S3 라이프사이클인지?
- 애플리케이션, 기간 등의 특정 상황을 주고 어떤 라이프사이클 룰을 이용해 어떤 스토리지 클래스로 이동하면 좋은지에 대한 문제
- DLM 관련 문제
- EC2 다른 가용 영역에 복제
- 특정 가용 영역에서 다른 가용 영역으로 AMI 이용해서 복제하는 문제
- 빅데이터 EBS는 어떤 볼륨 타입 설정해야 하는지
- OUTDATED 관련 문제
- 멀티 리전 환경에서 클라우드 포메이션 이용해서 어떻게 운영 효율성 가져가야하는지?
- 스택셋 문제였던 것 같음
- 오거너제이션 권한 관리
- SCP 관련 문제
- 로그 제시해주고 왜 통신 reject 되는지
- 특정 A 서버에서 B 서버로 가는 통신 REJECT 된 로그 주고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는지
- 온프렘 -> 우리 서버로 들어가는 상황? 일수도 있고 아니면 우리 서버 -> 우리 서버와 같은 상황. 통신 시 서브넷이 다른 등의 여러가지 상황이었던 것 같음.
- 보통 ACL 문제였던 것 같은데 맹점은 상황에 따른 네트워크에 대한 제어를 어떻게 해야하는가 문제였던 것 같다.
- 온프렘에서 S3로 통신할 경우 어떻게하면 비용 효율적인지
- DX or S2S VPN 관련 선택 항목이 있었음
- EC2 상태 체크해서 이메일로 Notification 전송하는 문제
- 인스턴스 자동 패치
- SSM 패치 매니저
- 네트워크 집약적인 클러스터 ec2 어떤 조합이어야 빠르게 통신할수 있는지?
- 클러스터 배치 그룹
- 동일 가용 영역에 배치?
- 다중 선택 문제였는데 클러스터 배치 그룹말고 나머지 선택은 뭐 했는지 정확히 기억 안난다.
- S3로 파일 전송하는데 속도도 느리고 효율적이지 않은 상황에 대한 문제
- S3 Transfer Acceleration
- 멀티 파트 업로드
- 두개 선택 했는데 맞는 지 모르겠음. 상황에 따라 잘 선택하시길 바람 아무튼 이런 유형의 문제가 나왔다.
- 클라우드 포메이션으로 구성한 아키텍쳐를 DR 용도의 멀티 리전 아키텍쳐로 어떻게하면 운영 효율적으로 옮길 수 있는지
- 서버 특정 프로세스의 로그나 메트릭 모니터링 해야한다
- 클라우드 와치 에이전트 procstat
- 클라우드 와치 이용해서 1분 단위 모니터링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 세부 모니터링 설정
- 클라우드 포메이션 MAPPINGS 관련 문제
- S3 버킷 명명 규칙 관련 문제
- 다음 중 S3 버킷으로 사용할 수 없는 조건을 고르시오 같은 문제였다.
- Bucket Policy 문제
- Bucket Policy를 어떻게 설정해야 Public한 접근을 막을 수 있는지 같은 문제였던거 같다.
링크
- 강의 내용 총 정리본
- Cheat Sheet (미완성)
후기
일단 공부 시간에 대한 반성이 든다. 뭔가 시험 준비 중후반부에 들어서서는 '내가 대충 알고있는 내용이네?' 라는 안도감에 긴장이 많이 풀려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만 보거나 취사 선택하여 공부를 하기 시작했고, 점수가 낮은 것도 충분히 맞출수 있는 부분인데 취사 선택한 내용 중 디테일한 부분을 많이 놓쳐 틀린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
다시 시험을 준비한다면 일단 꼼꼼히 확인하고 내용을 충분히 되짚어보고 이해->암기 기반으로 공부를 해야겠다. 그리고 최소한의 공부 시간과 기간을 무조건 맞추려 해야겠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핸즈온 강의를 거의 건너 뛰니 이론적인 내용만 얻게된 것 같아 물론 도움은 많이 되었음! 강의 정리가 다 끝나면 핸즈온도 꼼꼼히 볼 예정이다.
점점 공부 스타일이 확고해지다가 이번 공부 준비할 때는 해이해졌는데 원칙을 지키려고 노력해야겠다!
화이팅 내 인생~!
'자격증 > AWS SOA'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OA-C02 (SysOps Administrator - Associate) 시험 개요 (0) | 2024.02.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