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론
참 이번 시험 준비하는 데 이상하게 애를 먹었다.
시험 준비하는 후반에 뭔가 집중력도 많이 흐트러지고, 개념에 대한 이해도 중반부와 다르게 헷갈리는 순간들이 찾아왔다. 결국 합격을 하기는 했지만 만족스럽지는 않은 점수인 68점이라 EKS를 공부하면서 다시 한번 더 K8s에 대한 개념을 정리 해보고자 한다. 합격하고 나서 어디서 어떤 문제를 틀렸는지 알려주지 않아서 조금 아쉬웠다...
CKA를 취득해서 이제 정량적으로 남들에게 K8s에 대해 이 정도는 알고 있다고 말할 수 있어 조금 편해졌다. 이제 면접을 보거나 누군가 물어보게 된다면 자랑스럽게 뱃지를 들이밀어 봐야겠다 ㅎㅎ...
시험 시작 전 꼭 해야할 것
- 생각보다 시험 시작 전에 확인하는 과정이 나는 오래 걸렸다. 그래서 무조건 꼭 30분 전에 입장하기를 권장한다.
- 그리고 시험 보기 전 입력했던 내 이름 정보를 ID 카드와 대조한다. 물론 PSI 프로그램에 해당 ID 카드를 찍는 과정이 있긴 한데, 나 같은 경우는 감독관에게 한번 더 ID 카드를 보여주어야 했다.
- 책상을 굉장히 엄격하게 보기 때문에 책상위에 있는 모든 물건을 치울 필요가 있다.
-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판으로 그렸다... ㅋㅋㅋ 사진에서 빗금 친 구역에 잡동사니를 두고 불투명한 천 같은걸로 가려놨었는데 감독관이 보더니 있는거 다 치우라고 해서 후다닥 치웠다... 다음부터는 그냥 미리 치워놓아야겠다.
- 그 다음은 벽 전체를 보여달라고 하고 천천히 보여주었다. 책상 아래도 보여주고 책상에 앉았을 때 내 시야도 확인하고 그 다음 앉은 상태에서 두 팔이 나오게끔 보이라고 해서 원래대로 웹캠을 위치시켰다.
시험 시 알아야 할 것
- 문제는 총 17문제가 나왔다. 기억나는 대로 아래 기재해 놓았다.
- PV, PVC 생성해서 파드에 마운트
- 80 Ingress 생성해서 통신 가능하게 하기. 통신 테스트 할 수 있는 curl 명령어 제공해줌
- etcd snapshot 백업 및 복원
- 마스터 노드 버전 업그레이드 (단 워커노드는 절대로 하지 말기)
- 스펙에 맞는 Pod 생성하기
- expose deployment
- deployment scale
- 스펙에 맞는 deployment 생성하기
- multi container pod & 볼륨 마운트해서 logging container command 설정
- 파드에 command 설정하기
- kubectl top node 해서 가장 사용량이 많은 노드의 이름을 파일에 넣어라
- kubectl log pod 명령어로 특정 에러를 확인하는 명령어를 파일에 넣어라
- 파드를 띄울수 있는 노드의 개수를 확인해서 해당하는 개수의 숫자를 파일에 넣어라 (단 taint 걸려 있는것은 제외해라)
- node 트러블슈팅하기, kubelet 재시작하고 나서 정상 복구 됨
- clusterrole, service account 생성해서 binding 하기
- 기타 등등...
- Contexts 를 무조건 잘 확인해야 한다. 시험 중간에 context 를 잘 설정하지 않아서 많이는 아니지만 조금 헤매기도 했다. ssh 명령어를 이용해서 특정 노드에 들어가는 문제가 있을건데 ssh 명령어로 들어가게 되면 환경이 달라지기 때문에 master@node-01
정확히는 기억 안난다.처음 내가 시작한 호스트 네임을 정확히 확인하고 해당 호스트로 넘어가서 컨텍스트를 변경하는 것을 추천한다. - k=kubectl alias, bashrc 자동완성이 미리 설정 되어 있다. 괜히 설정하지 말자.
- 시험 환경은 매우 쾌적했다. 인터넷이 조금 느리긴 했는데 그래도 영향을 끼칠 정도는 아니다.
- 구글 검색이 안되기 때문에 docs 페이지를 들어가기 위해서는 firefox 창에서 kubernetes.io 를 입력해주어야 한다.
- 중간에 시험 일시정지를 신청할 수 있다. break 였나 버튼을 누르면 request가 가게 되는데 일시정지가 되는 것 같다. 사실 화장실이 너무 급해서 눌러놓고 화장실을 다녀왔는데 맞게 사용한건지는 모르겠다...
Retake를 믿고 될대로 되라지 하고 화장실을 다녀왔기 때문... - 시험 시간은 120 분으로 굉장히 충분히 주어지는 것 같다. 30분 정도 남겨 놓고 End Session 버튼을 누른 것 같다.
시험 시 도움이 되었던 정보
- export dryo="--dry-run=client -o yaml" 변수 설정하기
- 이거는 reddit 에서 발견한 꿀팁인데, dry run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을 지 확인하다 발견한 것이다. 사용법은 export 해놓고 kubectl run po $dryo 하게되면 해당 변수를 사용한다.
- 사실 이 외에는 개요에 미리 찾아 놓았기 때문에 아래 게시글에서 확인하면 될 것 같다.
참고하면 좋은 사이트
https://kubernetes.io/vi/docs/reference/kubectl/cheatsheet/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kubectl/quick-reference/
반응형
'자격증 > Kubernetes C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A] 명령어 정리 - 2 (1) | 2024.01.02 |
---|---|
[CKA] 명령어 정리 - 1 (1) | 2024.01.02 |
[CKA] 자격증 공부 개요 및 Core Concepts - 1 (1) | 202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