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ain 에러 확인 및 대응

2024. 5. 31. 09:23· Network
목차
  1. 개요
  2. NXDOMAIN
  3. SERVFAIL
  4. REFUSED
  5. 내 생각
반응형

개요

트러블 슈팅을 진행하거나 도메인 관련 설정을 할 때 에러가 발생한 적이 있는데 명확히 파악하지를 못했다. 원인이 무엇인지 관련된 증상이 발생했을 시 어떤 것을 확인하면 좋을 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NXDOMAIN

NXDOMAIN

위는 아무 도메인에 접속한 결과이다.

위와 같이 NXDOMAIN 관련된 에러가 발생하면 아래와 같은 항목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1. 도메인을 올바르게 입력했는지 확인하기
  2. 다른 기기, 브라우저, 네트워크 또는 캐시를 날리고 접속해보기
    1. 크롬에서 캐시를 지우기 위해서는 chrome://net-internals/#dns 로 접속해 "Clear host cache"를 선택하면 된다.
    2. 개발자 모드에서 캐시를 지워도 된다.
  3. 방화벽, VPN 등 소프트웨어가 막고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
  4. DNS 설정이 최근에 변경된 경우 기다렸다가 나중에 다시 시도하기
  5. 웹사이트에 대한 성능 모니터링하기
  6. DNS 클라이언트 서비스 다시 시작해보기
    1. 윈도우의 경우 DNS Client Service가 있다. `net stop dnscache` `net start dnscache` 명령어를 사용해 다시 시작해주면 된다.

 

SERVFAIL

SERVFAIL(Server Failure)은 DNS Resolver가 특정 도메인에 대해 Authoritative Server로부터 유효한 응답을 얻지 못했을 때 발생한다.

SERVFAIL (https://www.ezylinux.com/definition-of-dns-status-nxdomain-noerror-and-servfail/)

아래와 같은 항목을 확인하면 된다.

  1. 잘못 구성된 DNS 레코드 또는 Name Server가 있는지 확인하기
    1. Zone file에 syntax 오류가 있거나, DNSSEC 서명이 없거나 오류가 있는 경우, 부적절한 위임 문제 등이 있음
  2. DNS Resolver와 Authoritative server간 네트워크 연결이 중단될 경우
    1. 네트워크 중단, 라우팅 문제, 방화벽 제한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3. DNSSEC 검증 실패
    1. DNSSEC은 DNS 레코드에 디지털 서명을 하여 보안 계층을 제공한다. DNSSEC 서명이 유효하지 않거나 누락된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
  4. 서버 과부하
    1. DNS 쿼리가 갑자기 급증하거나 잘못 구성된 DNS 서버로 인해 시스템이 과부하되어 서버가 붕괴되고 SERVFAIL 응답이 발생할 수 있다.
  5. Authoritative Server 문제
    1. 도메인을 담당하는 Authoritative Server에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하거나 응답하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서버 유지 관리, 소프트웨어 버그 또는 하드웨어 오류가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REFUSED

DNS Name Server가 정책상의 이유로 쿼리를 거부할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네임 서버를 남용하는 특정 장치를 차단하거나 특정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 응답을 발생한다.

  1. DNS 호스트에서 서버 구성을 확인
    1. 도메인에 대한 쿼리에 응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2. 액세스 제어 목록(ACL) 확인
    1. 액세스 제어 목록이나 방화벽 규칙이 DNS 서버에 대한 쿼리를 방해하지 않는지 확인하기
  3. Authoritative Server 분석하기
    1. 도메인에 대해 Authoritative Server가 연결 가능하고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4. 다른 DNS 서버로 테스트
    1. Google의 8.8.8.8과 같은 공개 DNS 서비스와 같은 다른 DNS 서버를 사용해서 도메인을 쿼리해보기
  5. DNS 서버 로그 검토
    1. 거부된 쿼리와 관련된 오류 메시지나 경고가 있는지 DNS 서버의 로그를 검사하기
  6. DNS 속도 제한 확인
    1. 일부 DNS 서버 또는 서비스는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속도 제한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한도 내에 있는지 확인해보기

 

 

내 생각

보통 Route53으로 DNS 작업을 많이 하다보니 DNS 서버에 대한 설정을 확인할 생각은 안해봤던 것 같다. 혹시 이런 오류를 마주하게 된다면 일단 내 서버 DNS 설정 확인 -> Route53 설정 확인 -> (만약 온프레미스로 통신한다면) 온프레미스 DNS 서버 설정 확인 요청 -> Authoritative Server 문제 있는지 확인 등등의 프로세스를 거칠 것 같다.

$ nslookup [domain] [nameserver] 명령어를 이용해서 다른 도메인 네임 서버를 이용해 질의하는 방법도 좋을 것 같다.

 

 

[참조] : 

https://www.greengeeks.com/tutorials/dns-probe-finished-nxdomain-error/

https://www.royex.ae/help-and-support-questionnaires/how-do-i-troubleshoot-common-dns-errors-such-as-nxdomain-servfail-or-refused/

https://www.cloudns.net/blog/servfail-explained-how-it-affects-your-internet-experience/#:~:text=Conclusion-,What%20does%20SERVFAIL%20mean%3F,server%20for%20a%20particular%20domain.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에서 Upstream의 의미  (0) 2024.05.22
Web Socket 통신이란?  (0) 2023.09.22
localhost 와 127.0.0.1 차이  (0) 2023.08.01
NAT와 NAPT란?  (0) 2023.07.06
HTTP 상태 코드란?  (0) 2023.01.02
  1. 개요
  2. NXDOMAIN
  3. SERVFAIL
  4. REFUSED
  5. 내 생각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ginx에서 Upstream의 의미
  • Web Socket 통신이란?
  • localhost 와 127.0.0.1 차이
  • NAT와 NAPT란?
Nowon9159
Nowon9159
반응형
Nowon9159
Nowon의 블로그
Nowon9159
전체
오늘
어제
  • DevOps Engineer (176)
    • DevOps (7)
    • 서버 관리 (4)
      • 운영체제 (3)
      • 터미널 (0)
    • 프로그래밍 (13)
      • Python (11)
      • JavaScript (2)
      • Vue.js (0)
    • Cloud (6)
      • AWS (6)
      • NAVER Cloud (0)
    • Network (7)
      • Service Mesh (1)
    • CICD (0)
      • Git (0)
      • Jenkins (0)
      • Ansible (0)
    • IaC (0)
      • Terraform (0)
      • Helm (0)
    • Containers (3)
      • Docker (1)
      • Kubernetes (2)
    • 모니터링 (0)
      • 인프라 모니터링 (0)
      •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 (0)
      • 로그 관리 (0)
    • DB (0)
      • MongoDB (0)
    • 자격증 (54)
      • 정보처리기사 (0)
      • AWS SAA (26)
      • AWS SAP (22)
      • AWS DOP (0)
      • Kubernetes CKA (4)
      • AWS SOA (2)
    • CS 지식 (47)
    • 책, 강의 (5)
    • 스터디 (11)
      • k8sd (0)
      • Istio Hands-on Study (11)
    • 기타 (14)
      • Problem Solve (4)
      • 사담 (4)
      • 토이프로젝트 (5)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 블로거 소개 글

인기 글

태그

  • github
  • 티스토리챌린지
  • 토이프로젝트
  • CKA
  • Kubernetes
  • istio
  • cloud@net
  • 책
  • 클라우드넷
  • 스터디
  • DevOps 엔지니어
  • 자격증
  • 이스티오
  • 부트캠프
  • gasida
  • PYTHON
  • SAA-C03
  • 쿠버네티스 인 액션
  • familiar
  • k8s
  • 파이썬
  • 개발자
  • 문제 풀이
  • 오블완
  • Practice
  • 코딩
  • 가시다
  • SAP-C02
  • AWS
  • DevOps

최근 댓글

최근 글

글 보관함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2
Nowon9159
Domain 에러 확인 및 대응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