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제 풀이는 개인적 의견일 수 있습니다. AWS 공식 문서를 참조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영문]
A company is hosting a critical application on a single Amazon EC2 instance. The application uses an Amazon ElastiCache for Redis single-node cluster for an in-memory data store. The application uses an Amazon RDS for MariaDB DB instance for a relational database. For the application to function, each piece of the infrastructure must be healthy and must be in an active state.
A solutions architect needs to improve the application's architecture so that the infrastructure can automatically recover from failure with the least possible downtime.
Which combination of steps will meet these requirements? (Choose three.)
- A. Use an Elastic Load Balancer to distribute traffic across multiple EC2 instances. Ensure that the EC2 instances are part of an Auto Scaling group that has a minimum capacity of two instances.
- B. Use an Elastic Load Balancer to distribute traffic across multiple EC2 instances. Ensure that the EC2 instances are configured in unlimited mode.
- C. Modify the DB instance to create a read replica in the same Availability Zone. Promote the read replica to be the primary DB instance in failure scenarios.
- D. Modify the DB instance to create a Multi-AZ deployment that extends across two Availability Zones.
- E. Create a replication group for the ElastiCache for Redis cluster. Configure the cluster to use an Auto Scaling group that has a minimum capacity of two instances.
- F. Create a replication group for the ElastiCache for Redis cluster. Enable Multi-AZ on the cluster.
[한글] (번역기)
한 회사에서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단일 Amazon EC2 인스턴스에서 호스팅하고 있습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인메모리 데이터 저장소로 Redis 단일 노드 클러스터용 Amazon ElastiCache를 사용합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MariaDB DB 인스턴스용 Amazon RDS를 사용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이 작동하려면 인프라의 각 부분이 정상 상태여야 하며 활성 상태여야 합니다.
솔루션 설계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아키텍처를 개선하여 인프라가 최소한의 다운타임으로 장애로부터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단계의 조합은 무엇인가요? (세 가지를 선택하세요.)
A. Elastic Load Balancer를 사용하여 여러 EC2 인스턴스 간에 트래픽을 분산합니다. EC2 인스턴스가 최소 두 개의 인스턴스 용량을 가진 자동 확장 그룹에 속해 있는지 확인합니다.
B. Elastic Load Balancer를 사용하여 여러 EC2 인스턴스 간에 트래픽을 분산합니다. EC2 인스턴스가 무제한 모드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C. 동일한 가용성 영역에 읽기 복제본을 생성하도록 DB 인스턴스를 수정합니다. 장애 시나리오에서 읽기 복제본을 기본 DB 인스턴스로 승격합니다.
D. DB 인스턴스를 수정하여 두 가용 영역에 걸쳐 확장되는 다중 AZ 배포를 생성합니다.
E. Redis용 ElastiCache 클러스터에 대한 복제 그룹을 생성합니다. 최소 인스턴스 용량이 2개인 자동 확장 그룹을 사용하도록 클러스터를 구성합니다.
F. Redis용 ElastiCache 클러스터에 대한 복제 그룹을 생성합니다. 클러스터에서 Multi-AZ를 활성화합니다.
[풀이]
- 중요 애플리케이션 단일 EC2 인스턴스 호스팅, 인메모리 저장소 ElastiCache 사용, RDB MariaDB 사용중, 각 부분 정상 및 활성 상태 유지, 최소한의 다운타임으로 자동 복구 요함
- B의 경우 unlimited mode 여도 크레딧을 다 사용하거나 잉여 크레딧이 쌓일 수 없는 상황이라면 비용 효율적 측면에서 좋지 않아 보인다.
- C의 경우 동일 가용 영역에 읽기 복제본을 생성하도록 하는 게 최소한의 다운타임을 보장해주지 않고, 동일 가용 영역에서 장애가 발생할 시 복제본과 기본 DB 둘다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적절치 않다고 봄
- E의 경우 ASG는 가용성을 보장해주지만 신뢰성을 보장해주지는 않을 것 같음, Multi-AZ를 활성화 했으면 이야기가 달라졌음.
- 정답은 A, D, F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burstable-performance-instances-unlimited-mode-concepts.html#unlimited-mode-surplus-credits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ElastiCache/latest/red-ug/Replication.html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ElastiCache/latest/red-ug/AutoFailover.html
[출처] : https://www.examtopics.com/exams/amazon/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saa-c03/view/
위 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상위 출처 링크에 있으며 해당 게시글로 문제 시 댓글 부탁 드리며 삭제 조치 진행 하겠습니다.
'자격증 > AWS S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C02][문제 풀이] #11 계정 간 리소스 공유 문제 (0) | 2023.10.25 |
---|---|
[SAP-C02][문제 풀이] #10 사용자 지정 오류 페이지 제공 문제 (0) | 2023.10.25 |
[SAP-C02][문제 풀이] #8 웹 애플리케이션 across region fail over (0) | 2023.10.25 |
[SAP-C02][문제 풀이] #7 웹 애플리케이션 마이크로 아키텍처 서버리스 관련 문제 (0) | 2023.10.23 |
[SAP-C02][문제 풀이] #6 S3 버킷 정책 및 IAM 정책 관련 문제 (0) | 202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