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의
DNS를 플러시하면 캐시에서 IP 주소나 기타 DNS 레코드가 모두 지워집니다. 이렇게 하면 보안, 인터넷 연결 및 기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웹을 이용할 때 DNS 캐싱을 무조건 사용하게 된다. 캐싱은 다음 번에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을 할 때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해 다음 번 접속 때 빠르고 접속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캐싱이 많이 쌓이게되면 오히려 인터넷 접속 속도가 느려지거나, 캐싱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원 데이터 웹사이트 정보와 상이할 경우 제대로 된 접속이 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한다.
-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DNS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초기화 해주는 것을 DNS 플러시라고 한다.
- 플러시는 변기에서 물을 내릴 때 사용하는 용어로 많은 물을 흘려 깨끗이 씻어 낸다는 뜻이 있다.
- 그래서 DNS에는 TTL이라는 설정을 이용해 DNS 정보를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개워내기도 한다.
왜 사용하는가?
- DNS 스푸핑(Spoof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 DNS 스푸핑은 악의적인 공격자가 사용자의 DNS 캐시에 액세스하여 정보를 변경하여 사용자를 잘못된 사이트 즉, 악의적인 용도로 만든 사이트로 리디렉션하는 공격이다.
- 리디렉션 이후 온라인 뱅킹 로그인 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정보를 빼내기도 한다.
- 404 오류
- 새 도메인 네임이나 호스트로 이전한 사이트의 DNS 정보가 DNS 캐시 정보에 의해서 변경되지 않아 방문하고자 하는 사이트에서 404 오류나 오래된 버전의 사이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캐시를 지워 새로운 사이트를 사용자가 보기 위해서 사용한다.
- 웹 사이트 접속 시 문제가 발생한다.
- 웹 사이트를 로드하는 데 문제가 있는 경우 브라우저의 temp 파일과 쿠키를 지우는 등 브라우저 설정을 조정하고 그래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DNS 레코드를 플러시하고 서버에 새 요청을 해 해결할 수도 있다.
- 검색 동작을 비공개로 유지하기 위해
- 인터넷에서 DNS 캐시를 통해 검색 기록도 확인할 수 있다. DNS는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웹사이트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의 주소록처럼 작동하도록 설계 됐기 때문이다. 데이터 수집자나 해커 같은 악의적 행위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DNS 캐시를 플러시하는 것이 좋다.
내 생각
플러시라는 용어가 생소해 몰랐는데 그냥 DNS 캐시를 지우는 행위였다. 생각보다 간단한 내용이었다.
[참조] :
https://creavart.tistory.com/460
https://smorning.tistory.com/237
https://blog.hubspot.com/website/flush-dns#:~:text=What%20does%20flush%20DNS%20do,internet%20connectivity%2C%20and%20other%20issues.
반응형
'CS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트 스트랩이란? (0) | 2023.11.15 |
---|---|
사일로(silo)란? (0) | 2023.11.13 |
robots.txt 파일이란? (1) | 2023.11.08 |
Kafka란? (2) | 2023.09.30 |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란? (0) | 2023.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