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에서 다루는 내용 도커를 사용한 컨테이너 이미지 생성, 실행, 공유 로컬에 단일 노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실행 구글 쿠버네티스 엔진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설치 kubectl CLI 클라이언트 설정과 사용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와 수평 스케일링 2.1 도커를 사용한 컨테이너 이미지 생성, 실행, 공유하기 2.1.1 도커 설치와 Hello World 컨테이너 실행하기 책에서는 busybox 컨테이너를 실행했다. busybox는 echo, ls, gzip 등과 같은 UNIX 명령줄 도구들을 합쳐 놓은 단일 실행파일이다. busybox는 docker run을 사용해 어떤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실행할지, 필요하다면 실행할 다른 명령어를 추가적으로 기술하면 된다. $ docker run busybo..
Kubernetes
1장에서 다루는 내용 최근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배포의 변화 이해 애플리케이션을 격리하고 컨테이너를 사용해 실행 환경 차이 줄이기 쿠버네티스에서 사용되는 컨테이너와 도커의 이해 쿠버네티스로 개발자와 시스템 관리자의 작업 간소화하기 서론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원래 거대한 모놀리스였다. 레거시 시스템은 릴리스 주기가 느리고 비교적 업데이트가 자주 되지 않는다. 거대한 모놀리스 레거시 애플리케이션은 점차 마이크로서비스라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더 작은 구성 요소로 세분화 되고 있다. 오늘날 급변하는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려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마이크로서비스가 적합하다. 왜? 개별적으로 개발, 배포, 업데이트, 확장 가능하기 때문에. 허나, 배포 가능한 구성 요소가 많아질수록 이를 구성, 관리, 유지하기..